본문 바로가기

소비의 힘/윤리적 소비란?

생각하는 소비, 쿠키달인 키우고 고구마농장 살리다

생각하는 소비, 쿠키달인 키우고 고구마농장 살리다


윤리적 소비가 윤리적 생산으로 이어지고 있다. 뺏기지 않을 유기농지를 얻은 생산자 김기주씨 부부.

HERI Network

윤리적 소비가 바꾸는 삶의 현장

상상해보자. 나는 과자공장 직원이다. 지적 장애 3급이다. 치매에 걸린 외할머니를 돌보는 어머니 대신 생활비를 번다. 급여는 법으로 정한 최저임금을 받는다.

다른 삶을 상상해보자. 나는 농민이다. 잃을 뻔한 유기농지를 겨우 다시 얻어 고구마를 심었는데 가뭄으로 말라간다. 행복할까?

“아침부터 저녁까지 다 행복해요. 출근하는 거, 커피 마시는 거, 친구들 만나는 거. 친구요? 직원들이요. 다 친해요. 회사니까, 공동체니까.”(김희진 위캔 직원·25)

“요즘 워낙 가물어 고구마가 성장하기 어려운데 아침에 가면 그사이 밤이슬 먹고 커 있어요. 살려고 열심히 노력하는 거예요. 그걸 보면 행복해요.”(김기주 해야농장 대표·56)

소비자는 구매를 통해 김씨에게 직장과 동료들을 주고, 김 대표의 고구마 생산지를 지켜줬다. 덕분에 김씨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할 정도로 쿠키 상자를 빨리 접는 달인이 됐다. 김 대표는 아내 김현희(51)씨, 6명의 직원들과 함께 농약 대신 천일염으로 해충 피해를 물리치는 해수농법을 지켰다.

‘생활의 달인’ 출연한 장애인 직원들


와 ‘생활의 달인’에 출연한 위캔 직원 김희진씨.

김희진씨는 5월28일 <에스비에스>(SBS) ‘생활의 달인’에 출연한 ‘쿠키 상자 접기의 달인’이다. 위캔 쿠키 상자를 만들려면, 접혀 있는 부분을 펴서 사각 모양으로 세우고 바닥 부분을 안으로 접어 넣어야 한다. 처음 해본 사람은 10~20초 걸리는 일이다. 입사 5년차인 김씨는 1~2초 안에 끝낸다.

“힘든 건 전혀 없어요. 힘들 땐 다 같이 힘들지 않나요? 전 바쁠수록 좋아요. 종이포장이 재밌어요. 한가해도 좋아요. 세미나도 하고 스포츠도 해요. 친구들이랑 치료공동체도 하죠.”

지적 장애 3급이라는 위캔 팀장의 설명이 믿기지 않을 만치, 김씨는 자기 일과 직장 생활을 똑 부러지게 설명했다. 동료들 자랑도 야무졌다. 용진씨, 철수씨, 세경씨, 인정씨 등등 자기 말고도 달인이 많단다. 김씨는 ‘나’라는 말 대신 ‘우리’라는 말을 더 많이 썼다.

“텔레비전에서 ‘생활의 달인’ 보면서 ‘우리도 나가야 하지 않나? 나왔으면 좋겠다’ 했는데 진짜 방송사에서 온 거예요. 아싸, 이게 웬일이냐 했죠. 너무 좋아서 실감이 안 났어요.”

임주현 위캔 마케팅팀장은 “방송사에서 찍어간 달인들 중 희진씨만 방송에 나온 것”이라며 “이철수씨는 손이 안 보일 정도로 쿠키를 빨리 집어 담는데다 쿠키 성형 등 10여 가지 업무를 다 잘하는데 촬영 분량이 길어 못 나갔다”고 소개했다.

위캔 직원은 54명 중 35명이 장애인이다. 그 중 33명이 지적장애, 2명이 자폐성 장애다. 하지만 위생복을 입고 모여 있으면 누가 장애인이고 비장애인인지 구분하기가 어렵다. 떨어져 있으면 뭔가 불편함이 있는 장애인이었지만 함께 있으니 달인이 됐다.

2001년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위캔이 장애인을 달인으로 키울 수 있도록 도운 것은 바로 소비자다. 위캔은 지난해 매출 12억7000만원 대부분을 자사 사이트와 이로운몰, 푸드마트 등 B2C 쇼핑몰 회원들의 구매로 얻었다. 임 팀장은 “우리는 과자 만드는 수익을 모두 장애인 근로자한테 돌려준다”며 “우리 쿠키 고객 중엔 우리가 국내산, 유기농 같은 좋은 원료를 쓰고 수익을 장애인한테 준다는 걸 아는 윤리적 소비자가 많다”고 말했다. ‘생활의 달인’을 만들어낸 ‘배후의 달인’은 위캔 소비자들인 셈이다.


아이쿱생협이 농지 사들여 다시 임대

소비자의 힘은 유기토양도 지켰다. 전라남도 무안의 해야(海野)농장이 한 예다. 이 농장은 지난해 6500평의 유기농지를 잃을 뻔했다. 땅 주인이 땅을 팔겠다고 나선 것이다.

농장의 김기주 대표는 “13년 동안 가꾼 땅”이라며 계속 농사를 짓게 해달라고 사정했다. 농약에 오염된 다른 땅으로 옮겨가 다시 유기토양으로 가꾸려면 3년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그와 농장 사람들은 굼벵이가 고구마를 파먹어 한 해 농사를 망쳤을 때도 농약을 치는 대신 해수농법을 개발해 토양을 지켰다.

도움의 손길은 뜻밖의 곳에서 나타났다. 10여년 동안 거래한 단골, 아이쿱생협연대였다. 아이쿱은 해야농장의 딱한 사정을 듣고 농지를 구입해 다시 임대해줬다. 조합원들은 매년 200여t의 친환경 고구마를 해야농장에서 공급받고 있었다. 김 대표는 “아이쿱처럼 안정적인 소비처가 늘면 농민들이 불안 없이 친환경 농업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민은 늘 불안해요. 농산물 가격이 늘 춤을 추거든요. 먹을거리를 책임지는 사람들이 불안하면 안 됩니다. 농작물에 정성이 안 들어갈 수밖에 없어요. 정성을 다해 키운 농산물이어야 드신 분들이 건강합니다. 지역농민들도 정성 들여 농산물을 잘 키워야 행복하고요.”

소비의 윤리는 생산의 윤리로 이어진다. 정원각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장은 “윤리적 소비가 추구하는 방향은 결국 윤리적 생산”이라며 “생산이 바뀌어야 자연환경이 보전되고 사람 사는 사회가 지속 가능하게 된다”고 말했다.

위캔 시설장인 마리아(이수경) 수녀는 “마트 가서 제품을 잡았을 때 ‘내가 이것을 사면 수익이 어디로 갈까’ 잠시만 생각해달라”며 “수익이 생산자와 관계없는 주주들한테 가는 대기업 상품을 살지, 일하는 사람과 생산자한테 가는 사회적 상품을 살지 선택하는 건 소비자”라고 말했다.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야기를 모으는 공모전이 열리고 있다. 한국사회적기업협의회, 아이쿱생협연대, 한겨레신문사는 2012년 윤리적 소비 공모전을 연다. 이달 8일까지는 논문 제안서를, 8월31일까지는 수기 등 자유분야 출품작을 접수한다. 글·사진 이경숙 이로운닷넷

(eroun.net/author/sharing) 에디터

윤리적 소비 공모전 www.ethiconsumer.org

이로운닷넷 윤리적 소비 기획페이지 eroun.net/ethicalconsumerism

윤리적 소비 캠페인단 보라(BORA) bora.asia

사회적기업 블로그 blog.naver.com/se365 company

에시컬컨슈머(Ethical Consumer) www.ethicalconsumer.org

세계공정무역협회(FLO) www.fairtrade.net

공정무역연맹(FTF) www.fairtradefederation.org


‘윤리적 소비’ 궁금증 5가지

영국의 비영리 대안소비 단체인 에시컬컨슈머가 최근 ‘윤리적 소비’를 둘러싼 일반인의 대표적인 질문 5가지를 정리해 발표했다.

윤리적 소비란 말은 너무 어렵게 들린다. 어떤 제품을 사라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제품을 살 때마다 따져봐야 할 문제가 많아 골치 아프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윤리적 소비가 제시하는 까다로운 기준을 지키는 공정무역 제품, 친환경 제품, 사회적기업 제품이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단체와 기관의 추천목록을 참고하면 어렵지 않게 선택할 수 있다.

쇼핑하는 것으로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 시간 낭비 아닐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공정무역 제품과 유기농 농산물은 전문매장에서 정말 소수의 사람들만이 구매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점점 많은 사람들이 슈퍼마켓에서 유기농 농산물을 찾고 공정무역 커피를 찾기 시작하자 대형 슈퍼마켓들도 이러한 제품을 팔기 시작했다. 공동체의 지향을 실천하는 개인의 행동은 기업들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힘이 될 수 있다. 최근 소비자 불매운동이 큰 성과를 가져오고 있다는 사실도 고무적이다.

윤리적 소비자가 될 만큼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다. 그런 제품들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지 않은가? 모든 윤리적 소비 제품이 비싸지는 않다. 값싼 화학재료를 쓰거나 대량생산을 하지 않아 ‘최저가’ 상품은 없지만, 직거래나 유통단계 최소화를 통해 ‘거품 없는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은 있다. 포장, 대대적인 홍보 마케팅에 들어가는 비용을 품질에 투자하기 때문이다. 가장 싸지는 않지만 가장 믿을 만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아무리 윤리적 소비라고 하지만 ‘소비’를 촉진하는 것은 환경에 결국은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 아닌가? 결국 소비 자체를 줄여야 좋은 것 아닐까? 맞는 말이다. 하지만 아무리 소비를 줄이더라도 생활필수품은 사야 한다.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면서 윤리적 기준에 맞는 제품을 구매하자는 것이 윤리적 소비이다.

윤리적 소비는 정치적인 운동단체들이 하는 것 아닌가? 나는 그런 쪽에 관심이 없다 그렇지 않다. 정치와 이념에 상관없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소비가 세계와 환경에 주는 영향에 대해 인식하고 있다. 최근 연구를 보면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 75%가 자유방목하는 농장에서 나온 달걀이나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을 구매하는 등 일정 기간 동안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을 ‘윤리적’으로 소비하고 있다고 한다.

정리 유보라 이로운닷넷 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