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경제 공모전 안내/과거 공모전 수상작

10' 수기부문 은상 / 그건 정말 얼마인가요?


2010년 은상 수상작

윤리적 소비 체험 수기 부문

그건 정말 얼마인가요?
(
박주아)

 
“아야, 아야야, 아…….”


 몇 년 전, 객지생활 1년 만에 나는 방 한 구석을 뒹굴고 있었다.
 누구에게 도움청할 데도 없이 간신히 근처 병원을 들른 결과 알게 된 병명은 장염.
 꼬박 일 주일을 고생했고, 그 뒤로 두어 달 사이에 두 번을 더 앓았다. 직접 밥을 해 먹을 형편이 못 되어 근처 식당을 전전하며 끼니를 때울 때마다 이상하게 속이 더부룩하더니 결국은 장이 탈이 나버린 모양이었다.

 근처의 식당들은 주로 학생 대상의 뷔페식 월식당이었고, 식당들끼리 경쟁도 치열한 까닭에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어, 주변에 사는 학생 대부분이 이용하곤 하였다. 나도 그 중의 한명이었고, 집보다 훨씬 다양했던 반찬들에 맛도 괜찮은 편이어서 식사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들렀었다. 하지만 분명 몸에 좋은 잡곡밥, 자취생들은 무조건 먹어둬야 한다는 고기, 각종 채소 반찬까지 과식하지 않으면서 골고루 잘 먹어줬는데 참 이상도 했다. 식사를 마치기만 하면 속이 개운하질 않아서 가만히 앉아서 공부를 하기가 힘들 정도였다. 그럴 때마다 나의 운동 부족을 탓하며 괜히 동네 주변을 빙빙 돌아다녔지만 그다지 효과는 없었다.

 정말로 내 몸이 안 좋아졌었던 이유가 식당 음식 때문이었을까? 그 답은 지금도 확신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이후로 식당을 자주 찾지 않게 되었고, 더불어 하나의 의심이 생겼다. 
 
 ‘식당에서의 한 끼 가격으로 내가 건강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을까?’

 그 당시 한 끼의 가격은 2000원이 조금 넘는 정도였다. 식자재의 원산지나 상태, 음식의 조리 과정이나 첨가물에 대해서 알 수 있는 방법 따윈 물론 없었다. 
 정말 질 좋고 싱싱한 재료로 충분히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음식을 이천 원에 팔 수 있을까? 아무리 생각해도 긍정적인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 이천 원이란 가격과 맛을 맞추기 위해서는 재료의 질이든 뭐든 포기해야 될 것 같았고, 실제 구매에서 조리까지의 과정을 모르는 한 나는 더 이상 그 식당들을 믿을 수가 없었다.

 시장의 논리는 냉혹하다.

 우리는 이천 원짜리 밥을 싸게 잘 먹었다고 생각하며 먹지만, 실제 그 밥의 가치는 어디서 어떤 과정을 거치든 이천 원어치의 가치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가격이 매겨진 것이다. 그렇다고 그 열 배인 이만 원짜리 밥은 믿을 수 있냐면 그것도 아니었다.

 싼 물건의 가치도, 비싼 물건의 가치도 제대로 믿을 수 없는 사회라니, 이건 일반적인 생산과 소비가 어딘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의심은 뒤에 식품첨가물과 유기농 제품에 대해 알아보면서도 계속 됐다.

 ‘과연 이 식품이 내가 원하는 안전한 식품이 맞을까?’
 ‘유기농 인증이라지만 그걸 일일이 어떻게 검사해? 괜히 돈만 비싸게 받는 거 아냐?’
 내가 고르는 물건의 가치에 대한 의심은 계속 되었다. 대형 마트의 친환경 제품을 사거나 유기농 전문 매장을 들러도 식품의 성분 표시는 읽었지만 생략된 성분도 있었고, 표기된 성분은 과연 믿을 수 있는지, 그리고 농산물 같은 확인할 수 없는 상품은 어떻게 믿어야 할지…….

 그러다 일반 유기농 매장과 별다르게 생각하지 않고 생협의 조합원이 되면서 윤리적 소비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뜻을 제대로 알아듣기도 전에 왠지 내 고민과 맞닿아 있는 말인 것 같았다. 윤리적 소비로 인한 다른 영향은 잠시 접어두더라도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투명한 유통과정, 그러면서 책정된 물건의 가격, 조합비로 운영되는 물품의 안전성 심사 때문에 나는 내가 지불하는 물품의 가치에 대한 의심을 줄일 수 있었다. 단지 소비의 과정이 바뀌었을 뿐인데도 소비자와 생산자, 더 나아가 먼 국가의 사람들까지 서로 정당한 혜택을 보며 신뢰관계가 구축된다니 간단하면서도 꿈같은 이야기였다.

 윤리적 소비를 옛날에 들었다면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괜찮은 생각이긴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에겐 배부르게 보이는 뜬구름 잡는 생각.
유기농 제품은 돈 많은 사람들이나 찾는 것이고, 제 3세계 노동자들은 불쌍하지만, 정당한 대가를 주기 위해 파는 공정무역 제품은 마트에 쌓여 있는 저렴한 제품보다 비싸서 괜히 손해를 보는듯한 기분도 들었다. 의도야 어쨌든 당장 내가 살 물건은 대형마트의 1+1 상품보다 비싸게 느껴지니까…….

 하지만 건강하게 살고 싶고, 물건을 살 땐 좋은 물건을 믿고 사고 싶은 마음은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다르지 않다. 믿지 못할 상품을 내 어린 자식에게 먹이거나 쓸 수 있을까? 내 자식도 못 먹이는 음식을 나는 괜찮으리라 불신의 마음을 누르고 먹는 현실은 왠지 서글픈 느낌까지 든다. 
그런 의미에서 윤리적 소비란 궁극적으로 남보다도 나를 위한 소비라는 생각이 들었다. 당장 엄청나게 저렴하지 않더라도, 만들어져 내게 오는 과정을 알 수 있어 내가 믿고 살 적정한 가격의 물건, 내가 팔더라도 내 노동의 가치가 헛되지 않을 가격을 받는 물건.  

 앞의 말처럼 안심하고 물건을 사고파는 날이 쉽게 오지는 않을 것이다. 올바른 유통과정이 확립되어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 그 날을 위해 우리는 윤리적 소비를 알리고 실천하려 노력하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나를 위해 살고 싶은 소비자의 한 명으로서 마지막으로 늘 하고 싶던 질문을 던져 본다.



그 물건은 내가 지불할 정당한 과정과 가치를 지닌 물건인가요?

그것은 정말로 얼마인가요?